목차
01. 페욜의 일반관리론 3
Ⅰ. 개 요 3
Ⅱ. 내 용 3
Ⅲ. 평 가 4
02. 인사관리의 제도적 차원 5
Ⅰ. 제도적 차원의 의의 5
Ⅱ. 제조기업의 인사관리 5
Ⅲ. 서비스기업의 인사관리 6
Ⅳ. 나가며: 환경적 차원 고려 필요 7
03.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8
Ⅰ. 개 요 8
Ⅱ. 내 용 8
Ⅲ. 평 가 9
04. 메이요 등의 인간관계론 10
Ⅰ. 개 요 10
Ⅱ. 내 용 10
Ⅲ. 평 가 11
05. 바니 등의 자원기반이론 12
Ⅰ. 개 요 12
Ⅱ. 내 용 : VRIN 분석 12
06.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14
Ⅰ. 개 요 14
Ⅱ. 내 용 14
Ⅲ. 전략유형 별 인적자원관리 방안 16
07. 인사부서 역할 - 울리히 20
Ⅰ. 개 요 20
Ⅱ. 내 용 21
08. e-HRM 22
Ⅰ. 개 요 22
Ⅱ. 내 용 22
Ⅲ. e-HRM 도입효과 24
Ⅳ. e-HRM의 성공적 도입전략 25
09. 직무분석 26
Ⅰ. 개 요 26
Ⅱ. 직무정보 수집기법 26
Ⅲ. 직무분석 기법 28
Ⅳ.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31
10. 직무평가 33
Ⅰ. 개 요 33
Ⅱ. 직무평가 방법 33
11. 직무설계 36
Ⅰ. 개 요 36
Ⅱ. 전통적 직무설계: 직무전문화(job specialization) 36
Ⅲ. 현대적 직무설계: 개인 수준 38
Ⅳ. 현대적 직무설계: 집단 수준 42
Ⅴ.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44
12. 인력의 수요·공급예측 45
Ⅰ. 개 요 45
Ⅱ. 인력수요예측 45
Ⅲ. 인력공급예측 51
Ⅳ. 인력수급조정 53
13. 모집 56
Ⅰ. 개 요 56
Ⅱ. 모집원천 : 내부모집 56
Ⅲ. 모집원천 : 외부모집 57
Ⅳ. 모집효과성 평가 60
14. 선발도구: 면접 63
Ⅰ. 개 요 63
Ⅱ. 유 형 63
Ⅲ. 효 과 64
Ⅳ. 성공적 운영방안 64
15. 선발 효과성 평가 65
Ⅰ. 개 요 65
Ⅱ. 타당성(validity)검증 65
Ⅲ. 신뢰성(reliability) 검증 68
Ⅳ. 선발비율(Selection Ratio) 69
16. 인사평가 71
Ⅰ. 개 요 71
Ⅱ. 인사평가 구성요소(검증기준) 71
Ⅲ. 전통적 인사평가 기법 76
Ⅳ. 현대적 인사평가 기법 78
Ⅴ.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 card: BSC) 80
17. 교육훈련 83
Ⅰ. 개 요 83
Ⅱ. 교육훈련 필요성 분석 84
Ⅲ. 교육훈련 기법 86
Ⅳ. 교육훈련 활동 평가 92
18. 경력개발 101
Ⅰ. 개 요 101
Ⅱ. 경력경로(career path) 101
Ⅲ. 전환배치(transfer) 103
Ⅳ. 승 진(promotion) 105
19. 생애경력개발 모델 110
Ⅰ. 개 요 110
Ⅱ. 내 용 110
20. 공정성 이론-아담스 119
Ⅰ. 개 요 119
Ⅱ. 내 용 119
Ⅲ. 시사점 120
21. 임금수준 관리 123
Ⅰ. 개 요 123
Ⅱ. 임금 수준 결정에의 영향요인 123
Ⅲ. 임금수준 결정의 전략적 대안 126
22. 임금체계관리 129
Ⅰ. 개 요 129
Ⅱ. 연공급(seniority-based pay) 129
Ⅲ. 직무급(job-based pay) 131
Ⅳ. 직능급 134
23. 임금형태관리 137
Ⅰ. 개 요 137
Ⅱ. 개인성과급 제도(individual incentive plan) 137
Ⅲ. 집단성과급 제도(group incentive plan) 140
24. 복리후생 145
Ⅰ. 개 요 145
Ⅱ. 법정 복리후생 145
Ⅲ. 비법정 복리후생(voluntary benefits) 148
Ⅳ. 선택적 복리후생(flexible benefits plans) 150
25. 유연근무제 154
Ⅰ. 개 요 154
Ⅱ. 근로시간 유연화 154
Ⅲ. 근무장소 유연화 157
26. 모티베이션 관리 158
Ⅰ. 개 요 158
Ⅱ. 경제적 모티베이션 프로그램 159
Ⅲ. 비경제적 모티베이션 프로그램 160
Ⅳ. 관계관리 모티베이션 프로그램 161
27. 산업안전관리 163
Ⅰ. 개 요 163
Ⅱ. 산업재해 발생원인 163
Ⅲ. 산업재해 예방대책 164
28. 노동조합에 대한 이해 167
Ⅰ. 개 요 167
Ⅱ. 노동조합의 기능 167
Ⅲ. 노동조합의 형태: 조합원 가입 자격 기준 168
Ⅳ. 노동조합 안전조항: 숍제도 170
29. 단체교섭 172
Ⅰ. 개 요 172
Ⅱ. 유 형 172
30. 경영참가 175
Ⅰ. 개 요 175
Ⅱ. 유 형 175
31. 이직예방대책 177
Ⅰ. 개 요 177
Ⅱ. 이직의 효과 177
Ⅲ. 이직관리방안 178
32. 인력감축 전략 181
Ⅰ. 개 요 181
Ⅱ. 인력감축 전략 181
Ⅲ. 전직지원제도(Outplacemen) 184
책 속으로
[머리말]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핸드북」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본 교재는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내용 중 반드시 숙지ㆍ암기하여야 하는 핵심 내용들을 정리한 교재입니다.
●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수험서 및 서브노트의 내용을 요약ㆍ정리한 것이기에, 이들 기본 교재와 호환성이 높습니다.
● 핸드북 크기로 제작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든 교재를 반복 회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핸드북」은 다음과 같이 활용해 주십시오.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및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서브노트」 교재를 통해 인사노무관리 전체 체계를 잡고, 반드시 정리하여야 하는 쟁점별 내용은 본 핸드북을 수시로 회독ㆍ암기해 주십시오. 즉, 본 교재는 핵심 내용의 암기용 교재로 활용되는 것을 권장합니다.
2023년 12월
공인노무사 이해선 올림
작가정보
저자(글) 이해선
〈학력〉
KDI국제정책대학원 석사 졸업
한국항공대학교 졸업
〈경력〉
제19회 공인노무사
現 합격의법학원 경영학개론 전임강사
現 합격의법학원 인사노무관리론 및 경영조직론 전임강사
前 한림법학원 경영조직론 전임강사
現 (주) ST유니타스 공기업단기 경영학 강사
前 롯데 공인노무사 대비과정 경영조직론 출강
前 롯데면세점 간부승진자격 대비과정 전략경영 및 조직행동론 출강
前 삼성 공인노무사 대비과정 인사노무관리론 및 경영조직론 출강
前 LG 공인노무사 대비과정 인사노무관리론 및 경영조직론 출강
〈출판〉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학개론 제8판 (필통북스 간, 2023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제9판 (필통북스 간, 2023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SUB-NOTE 제5판 (필통북스 간, 2023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핸드북 (필통북스 간, 2023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조직론 제10판 (필통북스 간, 2023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조직론 SUB-NOTE 제5판 (필통북스 간, 2022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조직론 핸드북 (필통북스 간, 2023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1차 경영학 객관식 제7판 (필통북스 간, 2023년)
공기업에 通하는 경영학 (필통북스 간, 2021년)
군무원에 通하는 경영학 (필통북스 간, 2021년)
공인노무사2차 기출문제 해설집 (필통북스 간, 2016년)
한 권으로 끝내는 정통경영조직론 실전문제집(법학사 간, 2013년)
한 권으로 끝내는 정통경영조직론 (윌비스 간, 2013년)